솔라나($SOL) : 2023년 1월과 현재의 비교

Solana Insights : 2023/01 VS 2023/11
Nov 11, 2023
솔라나($SOL) : 2023년 1월과  현재의 비교

최근 코인베이스를 주도로 강력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하드웨어 시장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2022년 하반기 주춤했던 Solana에 대한 크립토 펀드의 자금 흐름 또한 긍정적으로 전환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 문서에서는 가격 상승 랠리에 대한 Solana보다 미시적 관점에서 2023년 1월과 비교해 Solana가 어떠한 상태인지 비교 해보고자 한다.

SOLANA : 2023년 1월 VS 2023년 11월

Solana는 2023년 1월과 대비하여 시가총액은 2023년 1월($3.7B) 대비 약 600% 상승($25.8B)로 상승하며 FTX 파산과 LUNA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그러나 일일 활성지갑(Daily Active Addresses)는 지난 3분기 대비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2023년 1월 대비 -26.7% 감소한 306.5K, 일일 트랜잭션(Daily Transaction Count)는 1월 18.5M 대비 9% 증가한 20.1M을 기록했다.

SOLANA 온체인 지표 : 신규 컨트랙트 지속 감소세

일부 온체인 분석가들은 전체 TVL 증가와 DEX 거래량 상승을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하고 있으나, 최근 6개월 간 신규 컨트랙트 수의 지속적인 하락 추세는 온체인 지표의 회복을 판단하기에는 이른 것으로 보인다.

이는 FTX 파산 이후 상당수의 Solana 계열 dApp들이 다른 Layer1으로 이탈한 것과 더불어, Solana Foundation이 이에 대한 대응보다는 인프라에 집중한 전략을 취한 것이 상황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크립토 펀드들의 솔라나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부분 또한 상당히 최근으로 신규 프로젝트 투자 비중이 높다고 가정한다면 MVP 단계의 제품개발 까지도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온체인 지표의 회복을 즉각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SOLANA 트위터 소셜 활동 회복세

온체인 지표가 부진을 나타내는 것과 대조적으로, 트위터의 소셜 활동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소셜 활동이 생태계의 상태보다는 가격 변동성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경향 때문이다. Web3 유저들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의 필요성보다 시세 차익이나 리스크를 기반으로 한 이익 극대화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온체인 지표의 활성화가 토큰 가격의 상승이나 하락과 항상 일치하지 않으며, 이는 생태계 내 각각의 dApp에 따라 구매력이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Solana의 현재 생태계 상황을 고려할 때, 이러한 상관관계는 더욱 약해진다고 볼 수 있다.

결론 및 요약

Solana의 최근 상승은 펀더멘탈 회복에는 매우 긍정적이나 망가진 생태계로 인하여 온체인 지표상에서는 이러한 회복세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Solana가 특정 섹터에 특화된 dApp 프로젝트가 아니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러한 긍정적 흐름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참여와 생태계 활성화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지속적인 노력과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2023년 1월 대비 Solana 시가총액 약 600% 상승

  • 온체인 지표의 회복세 부진 (일일 활성지갑 -26.7% 일일 트랜잭션 + 9%)

  • 회복세 부진의 원인은 FTX 파산 이후 dApp 이탈과 Solana Foundation 전략 기조

  • Solana 소셜 활동 10월 이후 증가세 온체인 지표와 달리 가격 변동의 영향으로 판단


Reference

👉 더 많은 정보를 획득하고 싶으시다면 Web3 Market Cap에서 확인하세요!

Share article

웬리의 크립토 인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