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을 위한 롤업, On-Chain에서 구현하는 KYC : OP-Stack 기반 프로젝트 "Kinto"
본 문서는 온체인 기반의 금융 서비스에 특화된 Layer2를 구상하기 위해 KYC를 도입한 롤업 프로젝트 Kinto에 대해 다뤄보고자 하며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롤업과 OP-Stack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필요로 한다.
롤업(Roll-up)에 대해 모르는 독자들을 위한 가이드
이더리움과 같은 초기 Layer1은 온체인 내에서 실행, 검증 과정을 거치며 데이터의 중요도가 높고 낮음과 상관없이 노드, 스토리지 등과 상호작용하는 합의 메커니즘을 거쳤고 이로 인하여 높은 비용과 많은 시간을 필요로 했다.
롤업은 이러한 높은 비용을 발생시키는 트랜잭션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Layer2의 일종으로 오프체인에서 트랜잭션을 실행하고 일부 데이터와 최종값에 대한 검증을 거쳐 Layer1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더 빠르고 낮은 비용으로 트랜잭션 실행, 검증을 가능케 하여 성능을 크게 향상 시킬수 있었다.
오늘 다루는 Kinto 프로젝트 또한 Layer2 스케일링 솔루션 중 하나인 Optimism의 OP-Stack을 기반으로 롤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
OP-Stack은 기존의 Layer1이나 Layer2와 달리 참여자 맞춤형 수수료 설정, 스마트 컨트랙트 구성, 트랜잭션 처리 요구사항 등을 유연하게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인프라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솔루션으로 2023년 6월 베드락 업데이트 이후 OP-Stack은 수수료 측면에서 상당한 감소를 이루었으며, 이는 경쟁자인 Arbitrum에 비해 30% 이상 저렴하며 Layer2 중에서도 높은 데이터 가용성을 자랑한다.
롤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은 독자라면 Four Pillars의"OP-Stack: 블록체인을 구축하기 위한 가장 간편한 프레임워크" 리서치를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금융을 위한 롤업 프로젝트 Kinto
Kinto 프로젝트는 기존의 DeFi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제도권 금융과 협업이나 접근성 측면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평가하였고 이러한 점에서 착안하여 온체인에서 KYC, AML 환경을 구축하여 기존금융과 DeFi를 통합할 수 있도록 하여 둘 사이의 장벽을 없애고 상호운용성을 극대화한 금융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하는 금융서비스에 특화된 롤업으로 요약할 수 있다.
주요 특징
KYC / AML (신원확인 및 자금세탁방지)
온체인에서 KYC, AML과 부정적 행위자에 대한 모니터링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며, 모든 참여자는 KYC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프로바이더를 선택하여 저장 및 관리 할 수 있다. 이 프로바이더 또한 Governance에 의해 관리되며 저장한 개인정보는 참여자가 승인할 때를 제외하고 온체인과 연결되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Built-in Insurance (보험)
Kinto를 기반으로 구축된 모든 스마트컨트랙트와 dApp이 부정적 이벤트에 노출되었을 때 보험을 제공한다.Default Revenue Stream (기본 수익 구조)
Kinto에서는 스마트컨트랙트에 기반한 시퀀서(Sequencer) 수수료를 수익으로 제공하는데 Kinto 위에서 형성된 거래량에 비례하여 수익으로 분배받을 수 있다.
Magical UI, aka Account Abstraction (계정추상화)
네이티브 계정 추상화를 통해, 참여자들은 더 이상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지갑을 설치할 필요 없이, 이름과 비밀번호, 또는 2FA OTP 같은 간단한 수단을 사용하여 계정을 생성하고 온체인 기반의 Kinto 생태계에 진입할 수 있다.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성 척도 1 : 자금조달 상황
Kyber Capital이 주도한 Pre-Seed Round로 $1.5M USD를 조달했으며, 최근에 다시 한번 $3.5M USD 규모 자금을 Seed Round로 조달했다. Kyber Capital, Spartan, Parafi 주도로 Skybridge, Kraynos, Soft Holdings, Deep Ventures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성 척도 2 : 잠재적 참여자 계층
Kinto가 가진 KYC & AML 구조로 불확실성에 대한 노출 우려가 적으며 검증된 참여자나 dApp을 통해 스테이킹, 랜딩 같은 기존과 유사한 형태의 DeFi부터 RWA(Real World Asset)까지 안전한 환경에서 탐색하고 경험할 수 있으며 기존의 어려움을 겪고 있던 3가지 유력 케이스의 Kinto로 진입이 예상된다.
기관 투자자
가상자산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고 싶으나 소속된 기관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
개인 투자자
악의적이거나 부정적 목적으로 설계된 dApp 또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노출되어 자산 손실 가능성을 우려하는 경우
기획자 또는 개발자
dApp 특성상 예상치 못한 보안 사고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한 어려움이 예상되는 경우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성 척도 3 : KYC 아키텍처
Kinto에서는 KYC 프로세스를 완료한 다른 참여자에게 양도할 수 없는 NFT를 제공하는 Kinto ID라고 하는 Kinto Layer2에 배포된 스마트컨트랙트와 상호작용 할 수 있다. 그리고 Optimism과 동일한 환경에서 개발이 가능하여 개발자가 새로운 언어나 환경으로부터 어려움을 겪지 않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설계하고 개발하여 배포할 수 있다.
Kinto ID
참여자의 KYC 인증 또는 다른 관할권에 AML 위반사항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플래그로 구성되어 개인정보 노출로 부터 안전한 구조개인정보 관리
Plaid, Persona, Stripe 등 가장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한 ID 프로바이더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저장된 데이터에는 지갑 주소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보안 사고가 발생한다고 가정하더라도 금전적 손실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
$KINTO 토큰 분배 계획 및 유틸리티
토큰 분배 계획
초기 발행량 10,000,000 $Kinto / 총 발행량 15,000,000 $Kinto
초기 투자자 (25%)
Pre Seed / Seed 투자자와 어드바이저에게 25%가 할당되며, 이들에게는 3년간 베스팅
팀 멤버 (15%)
KINTO의 팀 구성원에 15%가 할당되며, 3년간 베스팅
커뮤니티 (60%)
Kinto 커뮤니티 회원에게 할당되며, 플랫폼을 활용하는 참여자 및 개발자에게 배포
커뮤니티 분배 세부사항
Mining Rewards : 개발자 및 참여자의 활동에 따라 분배되는 3,000,000개 $KINTO 토큰이 보상으로 지급되며 초기 7년간 운영되며 선형적으로 보상량은 감소하는 구조로 할당
$KINTO Liquidity: $KINTO 유동성을 위해 1,000,000 $KINTO 토큰 할당
Network treasury : 새로운 이니셔티브 지원 및 기여자 보상을 위해 2,000,000 $KINTO 토큰이 Network treasury에 할당
토큰 유틸리티
KINTO의 핵심 유틸리티인 시퀀서 수수료는 온체인 Governance와 그 대표자의 계약에 따라 네트워크 메커니즘에 의해 징수된다.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수수료를 재분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현재 제안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CSR - Contract Secured Revenue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징수된 시퀀서 수수료의 10%가 개발자에게 제공한다.
🛡️ Safety Module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징수된 시퀀서 수수료의 10% 는 스마트컨트랙트로 구성된 보험을 구매하고 Safety Module 유동성 공급자에게 수익을 제공하기 위한 예비 풀에 적립한다.
예비 풀의 최대 공급량은 네트워크에서 확보된 총 TVL의 10%로 제한된다.
초기 2년 동안 Treasury에서 특정 % 수익률을 보장할 예정이며 수수료만으로는 채울 수 없는 부족분을 보완한다.
옵션으로 $USDC와 $KINTO를 공급하여 20%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 Treasury
네트워크 제어 가치와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수수료의 80%가 Treasury에 반환된다.
$KINTO의 온체인 Governance
$KINTO 보유자는 Kinto Governor라고 불리는 온체인 Governance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소유권을 공유하고 제안에 투표하게 된다.
Governance에 다루는 핵심 안건
재무 관리 : 프로토콜에 의해 징수된 수수료를 할당하는 제안
네트워크 수수료 : 관리 및 성과보수를 변경하는 제안
보상 프로그램 : $KINTO 기반의 참여 보상 프로그램 매개변수 제안
시스템 업그레이드 : KINTO의 여러 핵심 구성 요소 업데이트 제안
Governance의 핵심 : NIOS
Kinto의 Governance에서는 $KINTO 토큰에 기반한 투표로 Governance의 가디언 NIOS를 6개월 주기로 선출한다. 이들은 위에 언급한 4가지 핵심 사항에 대해 온체인 Governance에서 투표하며 다수결로 결정한다.
그러나 만약 Governance 소속된 NIOS가 연속 2회 이상 Governance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공석으로 변경되며 새로운 투표를 통해 NIOS를 다시 선출한다.
결론 및 요약
Kinto는 금융을 위한 혁신적인 롤업으로, 온체인에서 KYC와 AML을 구현하고 거버넌스 구조를 통해 투명하고 안전한 금융 생태계 제공을 목표로 하는 흥미로운 프로젝트라 할 수 있다.
크립토윈터 상황과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도 불구하고, 시리즈 A급 자금 조달과 명확한 시장 이해 및 구조를 갖춘 점은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여준다.
아직 시점은 알 수 없지만 토큰 출시와 실용적 사례 확보 이후 시장 반응이 어떻게 될지 주목할 만하다 판단된다.